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수학질문답변
- 여러 가지 수열
- 이정근
- 미적분과 통계기본
- 함수의 연속
- 이차곡선
- 수악중독
- 도형과 무한등비급수
- 적분과 통계
- 수학2
- 로그함수의 그래프
- 수열
- 수학1
- 수학질문
- 수열의 극한
- 수능저격
- 수만휘 교과서
- 중복조합
- 정적분
- 확률
- 행렬과 그래프
- 함수의 그래프와 미분
- 행렬
- 경우의 수
- 적분
- 함수의 극한
- 미분
- 접선의 방정식
- 심화미적
- 기하와 벡터
Archives
- Today
- Total
수악중독
마인드맵을 활용하라. 본문
공부를 하다보면 너무 많은 내용이 한꺼번에 나와서 도대체 머리속에서 정리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분명히 공부했던 기억은 나는데 어디서 어떤 내용으로 등장했던 것인지 도통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곧 그런 개념이 내 것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고, 더 나아가 숲을 보지 않고 나무만 보고 공부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공부를 했으나 정리가 잘 되지 않고, 나름대로 정리를 했으나 기억에 오래 남지 않는 학생들에게 마인드맵이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특히 수학 과목의 경우 개념 따로 공식 따로 문제 풀이 따로인 학생들이 너무 많다. 수학 시험지를 받아들면 머리속이 하얗게 변하면서 도대체 뭘 어떻게 어디서부터 풀어가야 할지 모르겠다는 수학 공포증 환자들이 의외로 많다. 이런 학생들은 수박 겉핥기식 수학 공부를 했으며, 원리 보다는 공식에 치중하고 개념들 사이의 연관관계 보다는 문제 풀이 기술에 더 신경을 쓰면서 공부한 학생들이다. 즉 문제를 접했을 때, 이 문제가 내가 배웠던 어떤 개념과 연관이 있고,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선 그 개념들을 어떻게 적용시켜야 할 것인지를 잘 모르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개념과 활용 사이의 연결 고리를 못 찾아 내고 있는 학생들이다. 이런 학생들에게는 마인드 맵이 큰 도움이 될거다.
우리가 흔히 연습장에 목차 적어내려가듯 개념을 정리하지만, 그렇게 글씨만으로 정리한 것보다는 그림의 형태로 정리를 해 나가는 것이 훨씬 기억에 오래 남는다. 그것은 내용 자체가 글씨 하나하나로 기억되느냐 아니면 영상 자체로 기억에 남느냐의 문제인데, 후자쪽이 롱텀메모리로 갈 확률이 높다고 한다. 따라서 마인드 맵을 스스로 그리는 것이(절대로 남이 그려 놓은 것을 보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개념 정리 및 개념간의 연관성 파악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개념과 활용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는데 득이 될 것이다.
그러나 막상 수학 과목에서 마인드 맵을 그리라고 하면 뭘 어떻게 그려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학교 3학년 학생에게 수학 과목의 개념을 정리하는 마인드 맵을 그려오라고 했더니
이렇게 그려왔다. 마인드 맵이라기 보다는 그냥 글씨로 정리한 것의 배치 정도를 바꿨다고 표현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그런데 이 학생에게 그림을 넣어서 좀 칼라풀하게 그려봐라 했더니만
이런 그림이 나오기 시작했다. 즉, 그리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좀 더 나은 방향(본인이 알아보기 쉽고, 기억에 오래 남을 수 있는)으로 발전해 나간다는 것이다.
여학생이 그려온 마인드 맵을 보면
이건 거의 아트다.... 과제를 부여한 선생이 놀랄 정도다... 물론 그리는 것 자체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은 좋은 방법은 아니다. 그러나 정성을 다해 그리다보면 개념이 어느새 내 머리속에 들어와 자리를 잡게 되고, 위와 같은 작품은 집에다 걸어 놓고 자주 봐서 나쁠게 없기 때문에 복습이 저절로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 무리의 학생들을 데리고 마인드맵 학습법을 시도해 본 결과 처음엔 시큰둥 하던 아이들의 반응이 상당히 긍정적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덩달아 수학에 공포를 느끼던 학생들이 점점 수학에 흥미를 느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중학교 수준의 수학에서만 마인드 맵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고등학교 과정의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고1 수준의 내용이다. 게다가 시중에 나와있는 마인드맵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도 마인드맵을 작성할 수 있다.
처음에 마인드 맵을 그리다보면 이걸 도대체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머리속에서 떠나질 않는다.
그러나 한 두번 그리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마인드맵을 그리면서 개념을 정리하게 되고, 나중에는 나무아닌 숲을 보면서 폭 넓은 진짜 공부를 할 수 있게 된다.
오늘부터라도 마인드맵에 도전해 보는 것은 어떨까?
Comments